google-site-verification: google7327b0cf794b16e1.html [책리뷰]청춘의 독서는 서울청년,지역청년의 의미, 지역간 독서격차.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리뷰]청춘의 독서는 서울청년,지역청년의 의미, 지역간 독서격차.

by cafe쥔장 2025. 5. 5.

『청춘의 독서』는 단순한 독서 에세이가 아니다. 유시민 작가는 이 책을 통해 청년들이 세상과 삶을 이해하는 힘, 곧 '사고의 틀'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를 강조한다. 그러나 현실은 청년들의 독서 환경조차 지역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격차는 단순한 물리적 거리 이상이며, 문화적·사회적 차이로도 이어진다. 본문에서는 『청춘의 독서』가 지역별 청년에게 어떻게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지, 그 현실과 배경을 심층적으로 비교해본다.

세상이 두려울 때마다 그들에게 길을 물었다.

서울 청년의 독서와 정보 접근성

수도권, 특히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들은 독서에 유리한 물리적 환경을 갖추고 있다. 대형 서점, 독립서점, 도서관, 북카페 등 다양한 독서 공간이 풍부하며, 작가 강연이나 북토크와 같은 문학 관련 이벤트도 자주 개최된다. 이 같은 인프라는 청년들이 책을 접할 수 있는 물리적 기회를 확실히 넓혀준다. 또한 서울 청년들은 출퇴근 시간의 지하철 독서 문화, 직장 및 학교 주변의 북콘서트, 도서관 추천 도서 프로그램 등을 통해 꾸준히 독서 습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청춘의 독서』 같은 인문 교양서에 대한 접근성과 흥미 유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더 나아가, 서울 청년들은 정보의 소비와 생산 측면에서도 빠르다. 유시민 작가와 같은 유명 인사의 강연이나 책에 대한 반응이 빠르게 퍼지고, SNS와 유튜브를 통해 독서 감상이나 서평을 공유하면서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가 확산된다. 이처럼 독서가 일상화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청춘의 독서』가 단순한 권장도서가 아닌, ‘생각하는 삶’을 시작하는 실질적인 계기가 되기도 한다.

지방 청년의 독서환경과 사회적 제약

반면, 지방 청년들이 마주한 독서 환경은 현실적으로 여러 제약이 있다. 지방 대학교나 지역 사회의 도서관 수는 적고, 규모나 신간 도서 확보 면에서도 한계가 있다. 문화센터나 작가 강연 등의 문화 프로그램은 대부분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 청년들이 문학적 경험을 쌓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는 『청춘의 독서』 같은 책이 지방 청년들에게 닿기까지 더 많은 장벽을 만든다. 온라인 서점이나 전자책으로 독서할 수 있는 시대라고는 하지만, 독서에 대한 동기 자체가 낮은 경우가 많고, 주변에서 책을 읽는 사람을 보기 어려운 환경이 문제다. 이는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독서와 멀어지는 구조적 문제로 이어진다. 유시민 작가가 강조하는 ‘생각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기 위한 독서는, 단순한 텍스트 소비가 아니라 토론과 공유, 그리고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지방 청년들은 이런 기회를 가지기 어렵고, 독서를 통한 자아성찰과 사회이해의 과정이 고립된 채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방 청년들은 독립서점 운영, 독서모임 기획 등을 통해 스스로 환경을 만들어가기도 한다. 『청춘의 독서』를 통해 ‘비주류로 사는 용기’를 얻고, 스스로 사회를 이해하는 힘을 키우는 이들도 존재한다. 이런 사례는 지역 격차 속에서도 문해력과 사고력을 키우려는 움직임이 결코 사라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지역 간 독서 격차가 남긴 과제

『청춘의 독서』는 지적인 성장을 위한 필독서이지만, 그것이 실제로 ‘읽히는’ 방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서울 청년은 이 책을 통해 사회적 대화의 도구를 얻고, 토론문화나 커뮤니티 활동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방 청년은 그 책을 통해 스스로 삶을 해석하는 ‘조용한 결단’의 도구로 삼는다. 같은 책을 읽지만, 그로부터 얻는 인식의 방식과 활용 방식이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독서 격차로 이어진다. 이는 단순히 책을 읽는 양의 문제가 아니다. 책을 읽고 나서 그것을 사회적 대화나 삶의 전략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의 차이다. 유시민이 말한 '독서를 통해 세상과 연결되는 법'은 어떤 지역에서는 실현되지만, 또 다른 지역에서는 개인 안에 갇힌 채 끝나는 셈이다. 정부나 지역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독서 장려 정책도 대부분 수도권 중심이며, 지속성과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진정한 독서 평등을 위해서는 단지 책을 보급하는 수준을 넘어서, 지역 기반의 토론 문화, 글쓰기 교육, 인문학 강좌 등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청춘의 독서』는 단지 책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사유하는 삶’에 관한 이야기다. 그 사유의 출발점이 ‘지역적 조건’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지역별 청년들의 독서 현실을 인정하고, 그 격차를 메울 수 있는 구조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청춘의 독서』는 모든 청년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전하지만, 그 메시지가 닿는 방식은 지역마다 다르다. 서울 청년은 독서를 통해 연결되고, 지방 청년은 독서를 통해 홀로 성장한다. 이제 우리는 독서의 기회가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생각해야 할 때다. 각자의 지역에서 ‘생각하는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문화적 격차 해소에 함께 힘써야 한다.